활동소식

함께 꾸는 탈핵으로 바꾸는 꿈 <김상훈 자원활동가>

2015.07.28

‘탈바꿈(탈바꿈프로젝트)’를 읽고…

김상훈

* 능인고등학교에 재학중인 김상훈님은 정보공개센터 자원활동가 입니다. 

** 이 글은 정보공개센터가 기획한 도서 [탈바꿈]에 대한 서평 입니다. 

 


 한창 탈핵에 관한 논쟁이 오갈 때 한국수자원연구원에서 제작한 공익광고를 보게 되었다.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원전을 계속 이용해야한다는 내용이었고, 어린 나이의 나는 공기업이었기에 이를 아무런 의심 없이 받아들였다. 그렇지만 탈핵에 대한 시민단체의 목소리가 갈수록 커져갔기에 나는 “왜?”라는 생각을 가졌다. 

책을 읽기 전에 탈핵에 대한 관심을 가지게 된 결정적인 계기는 따로 있었다. 2012년, 학교에서 월성원자력발전소에 체험학습을 간 적이 있다. 후쿠시마 원전사태가 발생한지 1년이 조금 지났을 뿐인데 경제성을 위주로 원자력 발전의 장점만 소개했다. 공교육기관에서 주최한 체험학습활동이 안전에 대한 소수의 의혹 제기는 고려하지 않은 채, 우리에게 원전에 대한 무조건적인 긍정적 의식만 심어주는데 주력했다. 


하지만 이 책을 통해 확고히 알게 된 원자력 발전의 실상은 내게 충격을 안겼다. 개인 사업자의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해 국민 안전권을 무시하였고, 현실과는 동떨어진 예산책정으로 핵발전소 유지 지지자들이 지속하여 주장하였던 경제적 효율성도 예상보다 현저히 낮다고 알려졌다. 더욱 충격적인 점은 쌓여가는 방사성 폐기물에 대한 정부의 대책이 전혀 없다는 것이다. 이런 식으로 정부와 사회구성원들이 “어떻게든 되겠지”라는 생각만 가진다면 결국에는 무책임하게 후손들에게 방대한 양의 핵폐기물을 물려주는 수밖에 없다. 


2011년으로부터 약 4년의 긴 시간이 흘렀다. 하지만 언제 폭발할지 모르는 원전들에 대한 대비책, 일본으로부터 유입되는 식재료에 대한 급식 조례가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적어도 나를 비롯한 우리나라 학생들은 그동안 일방적인 정부의 입장을 학교에서 교육받았고 시민단체가 요구한 내용들이나 주장한 여러 의혹 자료에 대해서는 적극적 지지를 표하지 못했고, 귀조차 기울일 수 없었다. 


얼마 전, 탈핵사회를 표방하게 된 독일은 시민들이 체르노빌 사태 이후 안전에 대한 위협을 느끼고 자발적인 시민운동을 펼쳐왔다. 그 뜨거운 사회참여의식이 수십 년 동안 지속되어 현재의 독일을 일구었다. 원전의 장점과 미래가 희미해진 지금, 시민들이 능동적으로 움직여 전 세계적인 돌풍을 일으키고 있는 재생에너지를 적극 수용하고 원자력발전에 대한 의구심이 드는 것이 있다면 즉각적인 정보공개청구를 하여 우리 안전을 되찾아야한다. 어찌 보면 무능력한, 무책임한 과거 정부의 핵발전소 설립 때문에 30년 뒤의 우리 세대가 그 결과물을 등에 지고 있다. 우리는 그 짐을 줄이거나 혹은 아예 없애서 후손들이 안전하고 쾌적한 지구에서 살아갈 수 있도록 길을 터주어야 할 것이다. 

 책을 읽다보니 ‘공혜원’이라는 분이 쓰신 글이 눈에 띄었다. 소개를 읽어보니 글을 쓸 당시 그 분이 고등학생이었던 것을 알게 되었다. 탈핵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을 배우고 직접 시위를 활용한 목소리내기를 실천했다는 것이 놀라웠다. 비록 2살 차이가 나지만 과연 나는 책을 읽기 전까지 이런 범국민적 참여가 필요한 중대 사안에 얼마나 무지했는가를 깨달았다. 하지만 늦지 않았다고 믿는다. 나도 책 속 여러 분들처럼 끝없는 정보공개청구와 현장참여를 통해 제도를 바꾸는데 동조하겠다. 친구들에게 책을 추천해 나와 같은 생각을 가지는 학생이 늘어난다면 어쩌면 탈핵과 동시에 진정한 국민주권국가로 향하는 큰 발걸음이 되지 않을까하는 행복한 상상을 해본다. 

by
  • 정보공개센터

정보공개센터는 정부지원 0%, 시민의 후원으로 활동합니다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