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중앙대학교에 재학중인 김기웅님이 정보공개청구와 분석을 해서 보내준 내용을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첨부하는 자료와 이미지 역시 모두 김기웅님께서 보내주신 자료입니다.
좋은 자료 보내주신 김기웅님. 고맙습니다 ^_^
(단위 : 건, 2014.6.30 기준) |
||||||||
년도 |
계 |
이용자 과실 |
작업자 과실 |
관리 부실 |
보수 결함 |
제조 불량 |
검사 부실 |
기타 |
2010 |
13 |
5 |
0 |
4 |
3 |
1 |
0 |
0 |
2011 |
15 |
8 |
2 |
4 |
1 |
0 |
0 |
0 |
2012 |
21 |
11 |
1 |
3 |
5 |
1 |
0 |
0 |
2013 |
25 |
12 |
3 |
3 |
6 |
1 |
0 |
0 |
2014.6월 |
8 |
3 |
1 |
1 |
2 |
0 |
0 |
1 |
계 |
82 |
39 |
7 |
15 |
17 |
3 |
0 |
1 |
하지만 보다 세부적인 사고의 진행상황을 보면 이야기가 조금 달라진다.
승강기 안전관리원에서 제공하는 승강기 사고의 개별통계 사례의 분석을 통해 승강기 안전관리원이 선정하는 사고원인 분류의 모순을 보도록 하자.
방범창이 깨진 상태에서 미취학아동의 접근을 막는 장치가 전혀 없었다는 것이 사고의 원인이 되어야 한다.
—————————————————————-
사고 사례3
사고원인
전동휠체어와의 단순 접촉으로 인해 부서진 승강장 문으로부터 사고의 원인을 찾는 것이 아니라, 장애인의 전동 휠체어 조작실수를 사고의 원인으로 선정하고 있다.
—————————————————————-
사고사례4
승강기 사고 조사 위원회의 구성원을 자세히 살펴보면 승강기 사고원인을 조사하고 이에 대한 책임을 관리업체인 사설업체와 이들의 관리주체인 승강기안전관리원에 물어야할 승강기 사고 조사위원회의 구성이 전부 연관되어 있다는 것 을 알 수 있다. 안정행정부 승강기 안전과 소속인 승강기안전관리원에서 검시가관 유지관리업체 제조업체를 선정하고 이를 시도기관에서 승인한다. 즉 위원회 사무국의 모두는 승강기 사고에 대해 책임을 묻는 사람들이 아닌, 책임을 져야할 사람들인 것이다. 승강기 사고 조사위원회 구성원이 내부 인원으로 만들어져 있는 상황에서, 승강기 사고 원인의 대부분을 내부자인 자신들과 연관된 승강기 자체에서 찾지 않고 외부자로 분류되는 피해자들로부터 찾으려고 하는 것이 승강기 안전관리업체와 관련된 내부자들 일명 승강기 마피아들이 벌이고 있는 행태인 것이다. 이를 보여주는 단적인 자료중 하나가 승강기 안전 법령에서 규정하는 각 사고원인별 분류 기준이다. 이용자 과실과 관련된 세부 분류 사항은 26가지에 이르는데 에 반하여 작업자 과실 4가지, 관리부실 10가지, 보수부실 4가지, 제조불량 4가지 밖에 되지 않는다. 이용자가 과실을 범할 수 있는 범위를 늘려놓는 상황에서 승강기 안전 관리원과 관련 있는 내부업자들이 공모된 승강기사고위원회에 의해 결정된 어떤 사안이 국민들로부터 신뢰를 얻을 수 있을까?
우리 중 그 누구도 엄청난 크기의 배가 갑자지 침몰할 줄 몰랐고, 안전하다고 생각했던 환풍구가 갑자기 무너질 줄 몰랐다. 그저 아직까지 큰 사고가 나지 않았다는 이유 하나로 승강기의 안전을 방치해 두는 지금. 승강기 안전의 발전을 위해 승강기 사고의 원인을 승강기 자체에서 찾으려 하지 않고, 사고의 책임을 이용자에게 돌리려고만 하는 승강기 안전관리원의 통계자료를 통한 횡포를 우리 스스로 지켜보고만 있다면, 국민들은 지금 스스로 자신의 안전에 대한 방관자가 되어가고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